제1공화국: 제1~3대 대통령 이승만(1948.07.-1960.04.)
- 미군정시대, 한국전쟁 국가위기 상황
- 최소한의 구호활동, 임시적/긴급구호적 정책, 이화여자대학교 기독교 사회사업학과 개설 사회복지 개념 도입(1947)
- 공무원연금법(60. 1.)
- 군사원호법(50. 4.), 경찰원호법(51. 4.)
- 근로기준법(53)
제2공화국 및 군사정권: 제4대 대통령 윤보선(1960.08.-1962.03.)
- 1960. 04. 19. 혁명으로 의원내각제 실시(장면 내각)
- 선원보험법(62, 미실시),군인연금법(63), 산재보험법(63. 11.), 의료보험법(63)
- 갱생보호법(61), 군사원호보상법(61), 생활보호법(61. 12.), 재해구호법(62), 국가유공자 및 월남귀순자보호법(62)
- 고아 입양 특례법(61), 고아의 후견직무에 관한 법률(61), 아동복리법(61)
- 사회보장에관한법률(63. 11.)
제3공화국: 제5~9대 대통령 박정희(1963.12.-1979.10.)
- 산업화, 경제개발 5개년 계획, 군사정부, 1973.01. 1차 오일쇼크, 복지국가위기와 재편
- 경제개발계획과 사회보장제도 병행 추진, 선별주의, 공공부조 관련 법 주로 제정
- 산재보험 실시(64)
- 자활 지도사업 임시조치법(68), 재해구제로 인한 의사상자구호법(70), 사회복지사업법(70. 1.)
제4공화국 유신시대: 제5~9대 대통령 박정희(1963.12-1979.10)
- 1972.10.27. 쿠데타를 통한 유신헌법 제정, 독재체제, 1979. 2차 오일쇼크, 1979.10.26. 박정희대통령 저격
- 학교교원연금법(73), 국민복지연금법(73)
- 개정의료보험법(76), 공무원 및 사립학교 교직원 의료보험법(77), 의료보호법(77), 월남귀순자 특별보상법(78)
- 입양특례법(76), 특수교육진흥법(77)
- 주택건설촉진법(72)
제1공화국~제4공화국 복지정책
- 해방 이후 수용시설 중심 복지
- 외국민간원조기관에 의한 사회복지사업 1970년대 까지 진행
제4공화국 과도정부: 제10대 대통령 최규하(1979.12.-1980.08.)
- 1979.10.26. 사건을 맞아 대통령권한대행, 1979.12.06. 통일주체국민회의로 선출
제5공화국: 제11~12대 대통령 전두환(1980.09.-1988.02.)
- 1979. 영국대처수상, 1980. 미국 레이건 대통령 집권(신자유주의 흐름 주도)
- 1979.12.12. 전두환 신군부 1212사태, 군사 권력 장악, 1980.5.18. 광주민주화운동
- 사회복지서비스 행정 대두, 한국형 복지모형 등장,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책임 강화
- 국민연금법개정(86. 12.), 의료보험법개정(86), 생활보호법전면개정(82. 12.), 국가유공자예우법(84), 갱생보호법개정(86)
- 사회복지사업기금법(80), 아동복지법(81), 심신장애자복지법(81), 노인복지법(81), 유아교육진흥법(81), 남녀고용평등법(87)
- 임대주택건설촉진법(84), 최저임금법(86. 12.)
제6공화국: 제13대 대통령 노태우(1988.02.-1993.02.)
- 6.29. 민주화 선언, 평화적 정권교체, 88올림픽 개최
- 공공복지, 사회복지전달체계 확립, 사회복지전문요원제도 실시, 복지관 건설 본격화
- 국민연금시행(88), 농어촌의보시행(88), 도시지역의료보험시행(89. 7.)
- 개정의료보호법(91)
- 모자복지법(89), 보호관찰법(89), 장애인복지법(89) ->심신장애자복지법을 장애인복지법으로 개정, 장애인고용촉진법(90), 개정노인복지법(89), 영유아보육법(91), 고령자고용촉진법(92)
- 장애인등록제도 시행(88), 최저임금제시행(88), 영구임대주택건설(89)
제4공화국~제6공화국 복지정책
- 1980년대 경제성장에 따른 복지정책의 변화
- 1988년 올림픽 개최로 인한 정부 및 민간 복지 정책의 전환기
- 외원기관의 지원중단 및 철수
- 제6공화국 지방자치법 제정, 지방화 시대 도래
문민정부: 제14대 대통령 김영삼(1993.02.-1998.02.)
- 신자유주의에 기초, 생산적 복지, 보편주의 지향
- 고용보험법(93), 개정국민연금법(95), 농어촌연금시행(95. 7.), 국민의료보험법(97. 12), 개정국민연금법(98)
- 종군위안부지원법(93), 북한이탈주민보호 및 정착(97)
- 모자보건법(94), 정신보건법(95), 성폭력처벌 및 피해자보호법(94), 청소년보호법(97), 사회복지공동모금법(97), 개정사회복지사업법(97),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법(97), 장애인 노인등 편의증진법(97)
- 임대주택법(94), 사회보장기본법(95), 남녀고용평등법(95, 2차 개정), 여성발전기본법(95), 청소년기본법(95)
국민의 정부: 제15대 대통령 김대중(1998.02.-2003.02.)
- 생산적 복지
- IMF(국제통화기금)구제금융, 평화적 여야 정권교체 이룩
- 공정한 시장분배, 국가에 의한 재분배적 복지
- 국민건강보험법(99.1 통합일원화), 개정산업재해보상보험법(99), 개정국민건강보험법(00), 개정국민연금법(00)
- 국민기초생활보장법(99. 8.), 시행(00. 10.)
- 사회복지공동모금회법(99.3), 개정사회복지사업법(99), 개정장애인복지법(99), 의료급여법전면개정(01) (의료보호법에서), 개정아동복지법(00,02), 모․부자복지법전면개정(모자복지법에서)
- 개정최저임금제(99)
문민정부~국민의 정부 복지정책
- 생활시설에서 이용시설 중심의 지역사회 중심 복지 강조
- 종합사회복지관, 노인, 장애인복지관의 양적 증가
- 재가복지 서비스 확대
참여정부: 제16대 대통령 노무현(2003.02.-2008.02.)
- 참여복지
- 대한민국 헌정사상 최초 대통령 탄핵안가결, 헌법재판소 탄핵수추안 기각
- 참여복지 복지개혁, 서비스 강화전략 추진, 사회복지사업 지방정부로 이양, 기존 사회보장의 내실화 기반, 취약계층의 복지 강화
- 개정국민연금법(07)(근로자 1인이상 사업장), 개정국민건강보험법(03,05,07)
- 개정국민기초생활보장법(04,05,06,07), 개정의료급여법(03,04,05,06)
- 개정사회복지사업법(03),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(05), 개정아동복지법(05,06), 개정노인복지법(03,04,05,07), 바우처 사업(07), 장애인차별 금지법(08. 4.), 건강가정기본법제정(04), 청소년복지지원법 제정(04), 개정장애인복지법(03,04,07), 장애인등특수교육법(07), 노인장기요양보험(07), 기초노령연금제(07)
- 개정사회보장기본법(05), 근로소득공제제도(08. 7.), 사회적기업육성법(07), 출산 및 군복무 크레디트제도(08)
실용정부: 제17대 대통령 이명박(2008.02-2013.02)
- 능동적 복지
-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서비스, 능동적 복지, 찾아가는 서비스
- 2008. 노인장기요양보험
- 2008. 기초노령 연금, 2010. 장애인 연금
- 2009. 근로장려세제(EITC)
'사회복지 > STUD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과학적 이론 (0) | 2020.12.15 |
---|---|
이론이란 무엇인가 (0) | 2020.12.14 |
일반 지식과 과학적 지식 (0) | 2020.12.13 |
사회조사와 지식 (0) | 2020.12.12 |
사회복지와 과학적 방법 (0) | 2020.12.11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