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론이란?
- 현상이나 사실들 간의 관계에 대한 설명한다.
- 사변적 이론 : 경험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이성의 논리적인 차원의 설명한다.
- 이론은 엄격하게 경험적인 검증까지 거친 설명한다.
- 과학적 이론들은 현상에 대한 설명, 예측, 이를 통한 문제 해결을 목적으로 한다.
사회과학 이론의 특성
① 단순한 믿음이나 철학이 아닌 이론
: 가치중립적인 경향을 가지며, 사실에 대한 설명을 목적으로 한다.
: 가치의 문제를 다루는 것인 연구의 대상이 될 수 없다.
② 사회의 규칙성
: 인간과 사회의 모습이 일정한 규칙성을 가지고 있다는 전제로 시작한다.
: 인간의 자유의지로 인하여 완벽한 규칙성을 찾을 수는 없다.
: 인간과 사회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, 예측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.
③ 개인이 아닌 집합체
: 개인이 아닌 집합체에 초점을 둔다.
: 개인의 집합체의 규칙을 탐색하며, 상호간의 관련성을 탐색한다.
④ 변수에 대한 관심
: 클라이언트에게 영향을 주는 변수에 관심을 가진다.
: 인위적 개입을 위한 지식을 형성한다.
이론의 구성요소
① 개념
: 경험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어떤 대상이나 현상을 대변하는 것이다.
: 대상의 속성을 의미하는 것이다.
: 같은 속성을 같은 것으로 인식 못하는 경우는 개념 형성이 부족한 것이다.
: 변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추상적인 경우가 많다.
② 변수
: 개념의 경험적인 상대역이다.
: 개념을 경험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조작화한 것이다.
: 변이의 속성을 가진다.
: 변수는 다른 범주로 구분되는 둘 이상의 변수값을 가진다.
: 독립변수 - 이론체계 내에서 독자적으로 설명되는 변수 (≒원인변수)
: 종속변수 - 독립변수에 영향을 받아 설명되어지는 변수 (≒결과변수)
③ 서술
: 공리 - 이론의 기초가 되는 설명, 증명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이다.
: 명제 - 개념들 간의 관계레 대한 결론적인 설명, 경험적 검증 필요, 가설을 이용하여 간접적인 검증방법을 사용한다.
: 가설 - 경험적인 실재에 관한 구체화된 경험을 기술한 것이다.
: 모든 이론이 이들을 모두 포함하는 것인 아니다.
④ 패러다임
: 현상에 대한 시각을 조직화하는 근원적인 모형 혹은 틀이다.
: 현상에 대한 직접적인 설명이 아닌 설명을 위한 관점을 제공한다.
: 창조론과 진화론, 기능주의와 갈등주의
: 전과학 → 정상과학 → 위기 → 경쟁적 과학 → 혁명 → 새로운 정상과학
'사회복지 > STUD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조사연구의 성격_조사연구의 과정 (0) | 2020.12.16 |
---|---|
과학적 이론 (0) | 2020.12.15 |
일반 지식과 과학적 지식 (0) | 2020.12.13 |
사회조사와 지식 (0) | 2020.12.12 |
사회복지와 과학적 방법 (0) | 2020.12.11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