분류 전체보기30 [사회복지조사론] 신뢰구간, 샘플링 디자인 ▶ 신뢰구간 - 사회과학에서의 신뢰구간 활용 ① 95% 신뢰구간 : 평균 ±2SE ② 99% 신뢰구간 : 평균 ±3SE - 자료 수집 후 분석과정에서 신뢰구간을 줄이면 신뢰수준을 낮추게 됨 - 표본의 크기에 따라 신뢰구간에 영향을 주는 표준오차가 영향을 받으므로, 연구의 적합한 충분한 표본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는 것이 중요 ▶ 표본의 크기 - 표본크기 추정의 어려움 ① 표준오차, 신뢰구간, 신뢰 수준 등을 사전에 결정하는 것이 쉽지 않음 ② 자료의 분석 방법에 따라서 표본의 크기가 달라짐 ③ 변수가 다수일 경우 각 변수별 표본수의 차이가 존재할 수 있음 - 표본크기 결정의 원칙 ① 표본의 크기가 가능한 클수록 좋음 ② 연구의 개념 및 변수가 많을수록 표본의 수는 증가함 ③ 연구모형의 변화를 예상하여 .. 2020. 12. 31. [사회복지조사론] 샘플링 및 확률 샘플링 ▶ 전수조사와 표본조사 - 전수조사: 연구 대상자의 모집단 전체를 조사한 자료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는 것 - 표본조사: 연구 대상의 모집단에서 표본을 추출하여 연구를 진행하는 것 - 표본조사의 장점 ① 효율성 ② 정확성 ▶ 샘플링 관련 용어 - 요소 : 자료가 수집되어 분석되는 단위(개인, 집단, 조직, 사회적 산물 등) - 모집단 : 표본을 통해 특성을 나타내는 모수(모집단의 값)와 표본들의 값을 나타내는 통계치, 표본연구의 경우 통계치를 통해 모수를 추정하게 됨 - 모수와 통계치 : 모집단의 값을 나타내는 모수와 표본들의 값을 나타내는 통계치, 표본연구의 경우 통계치를 통해 모수를 추정하게 됨 - 샘플링의 오차 : 표본 오차, 표본이 추출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, 모집단의 크기, 분포상태에 따.. 2020. 12. 30. [사회복지조사론] 측정의 신뢰도 ▶ 신뢰도 - 측정의 일관성을 의미하는 것이다. - 동일한 측정도구를 동일 대상에게 반복할 경우 일관된 결과를 보이는 정도이다. ▶ 신뢰도의 산출 공식 - 측정값 = 참 요소 + 오류 요소 - 측정값의 평균을 통하여 참 요소를 파악하고, 이를 통해 측정값들이 평균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정도인 분산을 구한다. - 분산이 크면 오차가 큼을 의미, 분산이 작으면 오차가 작음을 의미한다. - 신뢰도는 전체 분산 중에서 참값의 분산이 차지하는 정도로 파악된다. - 1에 가까울수록 신뢰도가 높음을 의미한다. ▶ 신뢰도의 측정 기법 ① 상호관찰자 기법 : 둘 이상의 관찰자가 측정하는 값들의 유사성을 통하여 측정도구의 신뢰성 확인한다. ② 검사-재검사 기법 : 동일한 측정 대상자에게 동일한 측정도구로 2회의 측정을 실시.. 2020. 12. 29. [사회복지조사론] 측정의 타당도 ▶ 체계적 오류 - 잘못된 측정도구의 선택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오류 ① 태도와 행동 : 태도와 행동이 차이와 있음을 연구자가 이해해야 함 : 연구자는 자신의 측정 대상이 태도인지 행동인지 결정해야 함 ② 편향에 따른 오류 - 고정반응을 의한 편향 : 일정한 유형의 질문에 대해 고정된 반응을 보이는 것 - 사회적 적절성의 편향 : 응답에 따른 판단을 고려하여 응답하는 경우에 발생 - 문화적 차이에 의한 편향 : 문화적 차이에 따라 응답의 반응이 결정되는 것 ▶ 무작위 오류 - 오류가 무작위로 발생하는 것 - 오류를 찾아내기도 쉽지 않고, 제거도 쉽지 않음 - 측정의 반복을 통해 무작위 오류의 원인들을 확인 가능해짐 ▶ 타당도 - ‘측정하려고 했던 것을 측정했는가.’를 나타내는 것 - 측정 도구가 .. 2020. 12. 28. [사회복지조사론] 측정도구의 형식 ▶ 설문지 구성의 고려 사항 ① 연구 목적과의 관련성 :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들의 연구 목적에 기여하도록 구성 : 연구 목적에 맞는 자료들을 수집하도록 노력 ② 개별 문항들의 기여성 : 개별문항들이 전체 자료 수집에 기여하도록 구성 ③ 문항 작성의 적절성 : 질문의 항목들의 작성에 주의를 기울임 ▶ 문항 작성의 유의점 ① 질문과 설명의 구분 : 개념을 설명하는 경우에는 설명과 질문을 구분하여 작성 ② 주관식 문항과 객관식 문항 : 주관식 문항 - 자유로운 의견수렴이 가능, 연구자의 생각 이외의 의견 수집 가능, 분류의 작업에 있어서 어려움이 존재, 무응답의 가능성이 높아짐 : 객관식 문항 - 유형화의 어려움이 적음, 포괄성을 갖추도록 작성하기 어려움, 상호배타성의 어려움이 존재 ③ 질문의 명확성 :.. 2020. 12. 26. 이전 1 2 3 4 ··· 6 다음